 |
 특징 측정 매개변수 및 범위:
COD: 0 ~ 50 mg/L
BOD: 0 ~ 150 mg/L
TOC: 0 ~ 200 mg/L
SAC254: 0 ~ 30 Abs/m
탁도: 0 ~ 40 FAU
Modbus RS-485 출력 적용분야 도시 하수 및 폐수 처리:
유입, 공정 중간, 유출 시점의 유기물 부하 및 공정 효율 모니터링.
산업 폐수 관리:
식음료, 제지 등 다양한 산업의 배출수 감시.
음용수 관리:
원수의 유기물 모니터링 및 산화, 응고, 활성탄 여과 공정 평가.
자연수 모니터링 및 양식장 관리:
하천, 호수의 오염 추적 및 양식장의 수질 유지. 기능 StacSense 전극은 254nm에서 UV 흡수를 사용하여 물에 용해 된 유기 화합물을 측정합니다. 이 흡광도는 TOC, COD 및 BOD의 농도와 상관되어 소모품이 필요없는 고성능 전극을 제공합니다.
530 nm에서의 기준 측정은 UV 광을 흡수하는 샘플 내 입자의 존재를 보상하고 탁도 매개변수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
엄격한 점화 관리와 결합 된 최첨단 고성능 UV LED를 사용하면 최적의 신호 분산을 제공합니다.
StacSense 센서는 Modbus RS-485 입력을 사용하여 모든 유형의 레코더, 트랜스미터, 원격 관리 시스템 또는 PLC에 연결됩니다.
센서 인덱싱의 결과로 200 개 이상의 센서를 레코더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.
간섭 방지 : 센서 및 디지털 신호 처리에 내장 된 사전 증폭.
모든 교정, 이력, 사용자 및 측정 데이터는 StacSense 프로브에서 직접 처리되며 Modbus RS-485 또는 SDI-12 링크를 통해 전송됩니다.
254 nm 에서의 SAC (Spectral Absorption Coefficient)는 적절한 상관 계수를 적용하여 물 샘플의 유기물 함량뿐만 아니라 COD, TOC 및 BOD 매개 변수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데이터 통합 및 자동화: 센서 내장 프로세서를 통해 모든 측정, 교정, 데이터 처리가 센서 내부에서 실행.
손쉬운 유지보수: 광학 창만 간단히 세척하여 사용 가능.
친환경 운영: 소모품이 필요 없으며, 전력 소모량도 낮음.
항목 |
세부 내용 |
측정 매개변수 및 범위 |
COD: 0 ~ 50 mg/L BOD: 0 ~ 150 mg/L TOC: 0 ~ 200 mg/L SAC254: 0 ~ 30 Abs/m 탁도: 0 ~ 40 FAU |
정확도 |
COD: ±3% 또는 0.2 mg/L BOD: ±3% 또는 0.1 mg/L TOC: ±3% 또는 0.1 mg/L 탁도: ±7% 또는 1.0 FAU |
측정 원리 |
UV 254 nm 흡광도 기반, SAC254 계산 탁도 보정: 530 nm 흡광도 |
출력 및 통신 |
Modbus RTU (RS-485) SDI-12 디지털 인터페이스 |
광학 경로 길이 |
2mm 및 50mm 옵션 제공 |
작동 환경 |
사용 온도: 0 ~ 40°C 보관 온도: -10 ~ 50°C pH 범위: 2 ~ 12 최대 압력: 5 bars |
전력 소비 |
5.4V: 평균 70mA (378mW) 12V: 평균 60mA (720mW) 24V: 평균 50mA (1200mW) |
내구성 및 재질 |
센서 본체: 316L 스테인리스 스틸 광학 창: Quartz (Corning 7980) 보호 등급: IP68 |
제품 구성 |
StacSense UV254 센서 (Optical path: 50mm) 전용 케이블 (길이 옵션: 3m, 7m, 15m) Modbus/SDI-12 통신 지원 소프트웨어 (CALSENS) |
응용 분야 |
도시 하수 및 폐수 처리 (유입, 공정 중간, 유출 모니터링) 산업 폐수 관리 (식음료, 제지 등) 음용수 관리 (원수의 유기물 모니터링, 산화/응고/여과 공정 평가) 자연수 모니터링 및 양식장 관리 |
AQUALABO_STACSENSE 관련 |
 |
|
|
|
|
BOD 측정기 계산 및 식종희석수 제조
|
BOD 계산관련해서 아래 방식이 있습니다.
1)식종하지 않는 시료의 BOD
BOD(mg/l)=(D1-D2) X P
2)식종희석수를 사용한 시료의 BOD
BOD(mg/l)={(D1-D2)-(B1-B2)Xf}X P
D1: 희석(조제)한 검액(시료)의 15분간 방치한 후의 DO(mg/l)
D2: 5일간 배양한 다음의 희석(조제)한 검액(시료)의 DO(mg/l)
B1: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된 식종액의 배양전의 DO(mg/l)
B2:시료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된 식종액의 배양 후의 DO(mg/l)
f:시료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시료 중의 식종액 함유율(x%)에 대한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한 식종액 중의 식종액 함유율(Y%)의 비(X/Y)
P:희석시료중 시료의 희석배수(희석시료량/시료량)
희석수의 조제:조제 20℃에서 포기하여 용존산소를 포화시킨 물 1L에 대하여 A액, B액, C액,D액을 각각 1ml 씩을 가한다..이 희석수의 pH는 7.2로 한다.
1)A액(완충액): 인산수소이칼륨(K2HPO4) 21.75g, 인산이수소칼륨(KH2PO4) 8.5g, 인산수소이나트륨(NaHPO.12HO) 44.6g 및 염화암모늄(NHCl) 1.7g을 물에 용해아여 1L로 한다. 이 완충액의 pH는 7.2이다.
2)B액(황산마그네슘):황산마그네슘(MgSO4.7H2O) 22.5g을 용해하여 1L로 한다.
3)C액(염화칼슘 용액): 염화칼슘(CaCl2) 27.5g을 물에 용해하여 1L로 한다.
4)D액(염화제이철용액):염화제이철(FeCl3.H2O) 0.25g을 물에 용해하여 1L로 한다.
위 희석수를 용존산소측정병에 채워서 20℃에서 5일간 배양한 전후의 용존산소의 차(=희석수 공시험 값)가 0.2mg/l 이하이어야 한다. 이중 40~70% 의 범위내 값을 선택한다.
|
궁금하신 점에 대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상담해드립니다. 제품문의 버튼을 누르시면 입력폼이 출력됩니다. 담당자의 이름을 클릭하시면 직통 번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|
 |
|
|
|